참가 후기4월 호스트데이 ‘도시에 활력을 가져오는 로컬브랜더’ 리뷰

SPACEBIZ 매니저

 


스페이스클라우드 4월 '호스트데이 현장'을 전합니다.


스페이스클라우드는 '호스트데이'를 통해 공간 서비스의 흐름을 공유하고, 호스트분들과의 교류와 네트워킹을 위해 노력하고 있는데요! 

공간 서비스가 어렵지 않게 와 닿을 수 있도록, 또 공간 운영과 공간 창업에 대한 다양한 정보와 팁을 얻어가실 수 있도록 호스트데이를 개최하고 있습니다.


4월 호스트데이는 특별히 미니 컨퍼런스 형식으로 진행되었는데요! ‘도시에 활력을 가져오는 로컬브랜더’라는 주제로 공간 기획을 주도하는 키워드를 통해 

인사이트에서부터 콘텐츠를 기반으로 기획자가 만든 공간 사례를 통해 레퍼런스까지 나눌 수 있었습니다.


특별히 2부에서는 참기름을 소재로 화제가 되고 있는 어반플레의 '연남 방앗간'과 산티아고의 분위기를 북촌으로 옮겨온 

인사이드구구의 '다락방구구'의 대표님들과 함께 다년간의 노하우도 살펴보았죠. 두 분의 사례를 통해 스페이스클라우드가 함께 지향하고자 하는 

'로컬브랜더'의 정의와 프로그램까지 정리해 볼 수 있었습니다.

호스트님의 열기에 시간가는 줄 몰랐던 4월의 호스트데이 현장을 지금 바로 전해 드릴게요!


이번 호스트데이는 신청인원이 많아 일찍이 마감되었는데요!

관심을 가지고 참여해주신 호스트님들께 입장하실 때에는 음료교환권과 도시작가 가이드북인 써본사람을,

돌아가실 때에는 스페이스비즈 쿠폰을 선물로 드렸답니다 :)

스페이스클라우드와 함께 두 손 가득, 마음까지 든든하실 수 있었으면 합니다.



1. '자영업자'를 넘어 '기획자'로



"로컬브랜더란 지역의 공간을 기반으로 브랜드 가치를 만드는 사람들"


첫번째 순서에는 호스트데이를 개최한 스페이스클라우드 정수현 대표가 '로컬 브랜더'를 정의하는 시간을 가졌습니다. 

스페이스클라우드 서비스가 점점 성장해 7000+ 이용자들과 교류하기까지, 가장 주목해야할 그룹을 포지셔닝했는데요.


바로 '로컬브랜더' 입니다. 그 누구보다 공간을 매력적으로 변화시켜 나가는 기획자, 자신만의 콘텐츠가 있는 공간 창업가를 로컬 브랜더라 명명하고, 

공간 비즈니스를 하는 7000팀 중 5%의 특별한 300-400팀을 발굴하고 이를 1000팀까지 확장시켜 선순환 해나갈 의지를 밝혔습니다.

자신들만의 브랜드와 콘텐츠로 공간을 기획하고 운영하는 이들이 안정적으로 부동산을 운영할 수 있도록 로컬브랜더를 확산, 여타 사업과 연계 해나갈 예정이라고 해요.

더 나아가, 스페이스클라우드 이동완 팀장이 서울과 도쿄 스터디를 통해 앞으로 함께해나갈 로컬브랜더의 유형을 5가지로 제안했습니다.



각각의 유형에 따른 특색있는 공간을 예시로 정리했는데요! 공간기획의 핵심 요소와 사용자 경험 요소로 분석한 자료를 통해 공간 경영에 필요한 전략과 인사이트를 

얻을 수 있었습니다. 호스트님들께서도 운영하고 있는 공간과 매칭하면서 인상깊게 들어주셨어요.

츠타야에서부터 무인양품, 디앤디파트먼트까지, 도심 속 유형에 맞는 로컬브랜더가 궁금하시다면 스페이스비즈 페이지에서 직접 확인해주세요 :) 



발표자료 보러가기 : https://spacebiz.kr/hostonly



2. 기획자가 만드는 도시의 공간들 (연남방앗간, 다락방구구)



"공간에 우리만의 콘텐츠를 담는다는 것, 이 곳에서만 누릴 수 있는 분위기와 느낌이 존재한다는 것"


2부는 기획자들이 운영하고 새로운 흐름을 만들어가는 사례를 대표님들과 직접 나누었는데요.

연남방앗간을 운영 중이신 어반플레이의 홍주석 대표님과 다락방구구를 운영 중이신 인사이드구구의 김도연 대표님을 모셨습니다.


연남방앗간은 젠트리피케이션에 사라져가는 공간을 어반플레이의 방식으로 풀어나간 공간이라고 해요.

장인의 경험과 청년의 창업, 유휴공간을 연결하는 콘텐츠를 기획합니다.

현재, 참기름이라는 독특한 소재를 현대적으로 풀어내 화제가 되고 있는데요.


연남방앗간에 담으려고 했던 가치와 각 공간마다의 특색, 큐레이션 또한 스페이스비즈에서 구체적으로 살펴보실 수 있답니다.



다락방구구는 산티아고 순례길에서 얻은 영감을 김도연 대표님만의 감수성으로 풀어낸 공간이죠.

공간을 찾고, 시작하게 된 배경부터 '다락방구구'라는 네이밍을 선택하기까지 본인만의 스토리를 들려주셨어요. 더 나아가 공간이 주는 분위기, 비언어적인 요소에 대한 

고민과 해결책을 함께 나눠주셨는데요! 특히나 다락방구구는 월매출 중 재방문율이 40%나 된다고하니, 호스트님께서는 공간만의 차별점을 꼭 확인해주세요 :)

공간에 콘텐츠적인 요소를 결합한 점에서 좋은 레퍼런스를 확인할 수 있었고요.

적자가 나지 않을 수 있는 운영시스템, 부가가치를 새롭게 창출해낼 수 있는 실질적인 콘텐츠 팁까지 빠짐없이 전달해드립니다!


대표님들께서 스토리를 공유해주신 후, Q&A 시간을 가졌습니다. 실제로 공간을 운영하시는 호스트님들께서 함께하는 자리이다보니 현실적인 어려움을 서로 나누고, 

실무적인 해결책까지도 공유하는 시간으로 가득 채워졌어요.

각 대표님께서 중요하게 생각하셨던 지점인 디테일과 톤앤매너 또한 중요한 포인트였죠! 공간으로 관계를 맺고, 커뮤니티를 형성해나가는 방법에 대한 토론도 이루어졌

는데요 :) 3부로 이어서 설명드릴 수 있겠네요!



3. 로컬브랜더를 위한 프로그램



"공간 기반 콘텐츠가 로컬브랜더로서 서로 연결될 수 있는 장, 스페이스비즈 론칭"


로컬브랜더에 대한 의지와 좋은 사례까지 살펴보셨다면, 실질적으로 어떻게 공간을 기획하고 운영해야 할지도 궁금하실텐데요.

스페이스비즈를 통해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다양한 정보를 채널을 통해 공유하고 네트워킹 할 수 있도록 로컬브랜더를 위한 서비스, 스페이스비즈를 론칭했습니다. 

공간 운영 전반에 대한 노하우를 카드뉴스 형태로 제공하는 '공간운영 TIP' 

호스트와 전문가, 호스트와 호스트들의 상호 네트워킹 공간  '공간운영 Talk' 

기본, 심화 과정으로 공간 운영 노하우를 전수하는 '로컬브랜더 School'

효율적인 공간 브랜드 프로모션의 시작 '스클 검색광고' 까지

앞으로 많은 발전을 기대해주시기 바랍니다.


호스트데이에 참여해주신 모든 호스트님들께 다시 한번 감사의 마음을 전합니다. 

스페이스클라우드는 스페이스비즈를 통해 자영업과 소상공의 프레임을 넘어 '기획자'와 '로컬브랜더'로 성장하는 과정을 함께하겠습니다.  


스페이스클라우드의 호스트가 되어보세요!

스페이스클라우드 호스트센터에서 호스트 가입, 공간등록부터 정산까지 서비스 매뉴얼을 받아보세요.